백두대간

백두대간 1구간, 알프스리조트,진부령에서 마산봉, 대간령,신선봉,상봉, 미시령까지

SANMA 2014. 5. 26. 21:33

 

 

백두대간의 정의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동쪽의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 뻗어 내리다 태백산 부근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남쪽 내륙의 지리산에 이르는 산맥으로 우리나라 땅의 근골을 이루는 거대한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 · 설악산 · 태백산 · 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경표()』에 따르면 백두산부터 원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흥의 황초령, 설한령, 평안도 영원의 낭림산, 함경도 안변의 분수령, 강원도 회양의 철령과 금강산, 강릉의 오대산, 삼척의 태백산, 충청도 보은의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인 신경준이 쓴 『산경표』에서 한반도의 산줄기를 대간()과 정간(), 정맥()으로 나타낸 체계를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산경표는 1913년 활자로 인쇄된 책자가 많이 남아 있다. 과거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나라 땅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과 하나의 정간, 그리고 13개의 정맥으로 이루어졌다.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여러 갈래로 갈라진 산줄기는 모든 강의 유역을 경계지었다. 크게 나누어 동 · 서 해안으로 흘러드는 강을 양분하는 큰 산줄기를 대간 · 정간이라 하고 그로부터 다시 갈라져 하나하나의 강을 경계 짓는 분수산맥()을 정맥이라 하였다.

대간을 이루는 주요 산은 기점인 백두산(2,744m)으로부터 동남쪽으로 허항령(, 1,401m), 포태산(, 2,289m), 최가령(, 1,527m), 백사봉(), 두류산(, 2,309m) 등 2,000m 정도의 높은 산으로 이어져 압록강과 두만강의 유역을 동 · 서로 분계하였으며 북동쪽으로 장백정간()을 갈래하였다. 서남쪽으로 후치재〔, 1,335m〕, 부전령(, 1,445m), 황초령()으로 이어져 압록강의 남쪽과 동해로 흘러드는 분수기를 이루며, 다시 남쪽으로 차일봉(, 1,743m), 철옹산(, 1,085m), 두류산(, 1,324m)으로 이어져 대동강의 남쪽 정맥인 해서정맥(西)을 서남쪽으로 두었다.

원산 서남쪽으로 이어진 대간은 마식령(, 788m), 백암산(, 1,110m), 추가령(, 752m)으로 연결되어 임진강의 북쪽 유역의 경계를 이루었고 한강 북쪽 한북정맥()의 시점을 이루었다. 동해안을 끼고 국토의 척추인 양 이어진 대간은 금강산(, 1,638m), 진부령(, 529m), 설악산(, 1,708m), 오대산(, 1,563m), 대관령(, 832m), 두타산(, 1,353m), 태백산(, 1,567m)으로 이어 흐르다가 남쪽으로 낙동강의 동쪽 분수 산줄기인 낙동정맥()을 형성시켰다.

대간의 본줄기는 내륙 깊숙이 소백산(, 1, 421m), 죽령(, 689m), 계립령(), 이화령(, 548m), 속리산(, 1,508m)으로 뻗어내려 한강과 낙동강을 남북으로 분수하였다. 이로부터 추풍령(), 황학산(, 1,111m), 삼도봉(, 1,177m), 덕유산(, 1,614m), 육십령(, 734m), 영취산()까지 금강의 동쪽 분수산맥을 형성하며 섬진강의 동쪽 분수령인 지리산(, 1, 915m)에서 백두대간은 끝난다.

백두대간은 장백정간과 함께 서쪽으로 해안선까지 많은 ‘골’과 ‘들’을 이루며 뻗어 내려간 13개의 정맥, 즉 청북정맥() · 청남정맥() · 해서정맥 · 임진북예성남정맥() · 한북정맥 · 한남정맥() · 한남금북정맥() · 금북정맥() · 금남정맥() · 금남호남정맥() · 호남정맥() · 낙동정맥 · 낙남정맥()과 연결되고 있다.

이들 산줄기의 이름은 강줄기의 이름에서 얻어진 것이며, 호남정맥과 해서정맥은 호남지방과 해서지방이라는 지명에서 산줄기 이름이 유래하였다. 산과 물이 하나로 자연을 이루고, 언어 · 습관 · 풍속 등과 의식주의 다양함이 산줄기와 물줄기의 가름으로 세분화되어 생활 철학을 탄생하게 하였다. 산줄기마다 지역을 구분 짓는 경계선이 되어 부족국가의 영역을 이루었고 삼국의 국경을 비롯하여 조선 시대의 행정경계를 이루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자연스런 각 지방의 분계선이 되었다. 이 땅의 지세()를 파악하고 지리를 밝히는 데 있어서 백두대간은 그 근본이 된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로, 황해 동해를 거쳐 낙동강 수계의 분수령이 된다. 이 산줄기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쪽 해안선을 따라 남쪽으로는 지리산까지 이어진다. 총길이가 1,625km이고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남한 구간만 해도 690km에 이른다. 
현 백두대간 종주할수있는 거리는 670km 입니다  진부령에서 지리산까지의 거리입니다 

 

< 제 1구간 >

○ 코스 : 진부령 ~ 미시령.

○ 날짜 : 2006년 9월 2일 ~ 3일.

○ 인원 : 32명.

○ 행정 및 시간, 거리

진부령 ⇒ 알프스리조트 ⇒ 마산봉 ⇒ 대간령(새이령)

06:15 3km 07:10 5km 07:58 8km 09:35

⇒ 신선봉 ⇒ 상봉 ⇒ 화암사

10.5km 11:00 ~ 12km 12:20 18km 14:25

11:40(중식)

○ 산행일지

9월2일 토요일 10시. 창원시청에서 백두대간이라는 대장정이 시작되는 버스에 탑승.

버스는 마산 중리를 거치고 6시간의 긴 시간을 거쳐 5시경 진부령 정상에 도착했다.

05:20경 진부령에서 백두대간시제를 지내며 대간 산행 동안 안전한 산행과 완주를 기원했다. 06:15, 드디어 그 동안 그리던 백두대간 산행의 첫 발을 내디딘다.

진부령 정상에서 50여m 상정 옆으로 시멘트 포장길로 이어져 약 1km 정도 길을 따라가다 왼쪽 능선 쪽으로 급경사면을 올라간다. 능선 길을 따라 30여분을 가니 농원이 나오고 농원 왼쪽 길로 따라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오른쪽은 농원 겸 집이고 왼쪽은 군부대다. 오른쪽으로 시멘트 길을 약 1km 정도가면 차로 가기 전 50여m 정도에 왼쪽으로 리본이 나온다. 하지만 우리는 차도를 이용해 알프스 리조트 구 호텔로 향했다. 구 알프스 리조트 호텔 뒤로 마산봉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있다. 현재 이 등산로는 폐쇄구간. 마산봉에 도착하면 20여m 되돌아와 오른쪽으로 미시령으로 가는 길이 있다. 우리도 마산봉에서 직진해 20여분 동안 길을 잘못들어 시간을 허비했다. 마산봉에서 약 1시간 정도가면 대간령(일명 새이령)에 도착한다. 여기서는 조금 더 가면 큰 너덜지대가 신선봉까지 이어진다. 신선봉 전 봉우리에 올라서니 주위 경관이 무척 새롭고 좋다. 신선봉 헬기장에서 중식을 하고 직진해 왼쪽 길로 가야한다. 이곳은 큰 너덜지대다. 약 40여분가면 돌탑을 쌓은 상봉이 나온다. 여기서 왼쪽으로 가면 (능선)샘터가 나온다. 여기서 직진하면 미시령, 왼쪽은 화암사다. 현재 미시령은 통제구역. 국립관리공원 직원이 통제하고 있어 화암사로 향한다. 이곳도 암릉, 너덜지대라 산행이 여간 불편하고 힘든 게 아니다. 화암사에 못 미쳐서 공원 직원에게 적발 피하려고 했어도 적발됐다. 하는 수 없이 50만 원짜리 벌금을 냈다. 화암사에 도착. 간단한 세면 후 약간의 뒤풀이 후 16:00 경 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