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65

금강기맥 2구간, 피암목재에서 왕사봉,622봉,무릉계곡까지

신금남정맥 2구간 언제:2010년 7월 18일 날씨: 맑음 누구랑: 경남 마루금사람들 어디서 어디까지: 피암목재(10:05)-675.5봉(10:23)-성봉(787봉)(10:56)-장군봉(742봉)(11:25)-장군봉(724.5봉)(12:59)-큰싸리재-금만봉(750봉)(13:13)-싸리봉-왕사봉(718.3봉)(13:52)-622봉(14:20)-무릉계곡(14:50) 피암목재에서 2구간 출발하며 기념촬영 능선오르면서 내려다본 피암목재 운무에가려진 운장산 어디에쓰는 목책인지 목책좌측으로 진행 675.5봉헬기장 삼각점 성봉직전 전기없는 마을 삼거리 성봉 787봉 이번구간에서 가장 높은봉이다 옛성터 보존상태가 아주 양호합니다 고래등바위 장군봉 가는중에 장군봉 742봉 이 봉이 실제 장군봉이 아닌가 싶다 장군봉에서..

금강기맥 1구간 모래재에서 피암목재까지

금강기맥( (錦江岐脈) )( 대동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 )이란 산경표의 금남정맥(錦南正脈)은 진안 주화산을 출발해 운장산, 대둔산, 계룡산을 지나부여의 부소산 넘어 백마강 구드레나루에서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20km인 산줄기이다. 대동여지도의 금남정맥(大東錦南正脈)은 진안과 완주의 경계를 이루는 금만봉에서 서쪽으로 분기해서 금강과 만경강을 뚜렷하게 가로 지으면서 군산 점방산에서 서해바다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120km인 산줄기 이다. 그런데 산경표의 금남정맥은 "산은 물을 가르는 경계(山自分水嶺)"라는 물가름의 원칙으로 볼 때 오류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산경표의 원리에 충실하자면 금남정맥은 금만봉에서 분기해서 금강과 만경강의 수계를 가로 지으면서 군산 점방산까지 이어진 대동여지도의 금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