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지맥 (江華枝脈) 이란
한남정맥 마지막 봉우리인 문수산 정상에서 서쪽 능선을 타고 내려와 강화대교를 건너서 만나는 강화읍 용정리
당산(74.2m) 에서 고려산(436m), 혈구산(460m), 퇴미산(339m),덕정산(320m), 길상산(336m)을 거쳐 강화도 최남단인 택리나루터에서 강화만에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2.1km인 산줄기를 강화지맥 이라 제시하고 있다.
거제지맥, 남해지맥, 진도지맥과 마찬가지로 육지와 가까워 처음으로 연륙교가 놓인 곳을
산줄기의 시작으로 보고 남쪽 끝을 종점으로 본 것이라 하겠다.
강화지맥은 대간이나 정맥에서 갈라진 지맥(枝脈)이 아닌 단순히 강화도를 남북으로 가르는 산줄기 이다.
강화도 최북단에 위치한 양사면 철산리 북장관돈대에서 시작하여 제적봉(115m), 별악봉(130m), 저담산(167m),
성덕산(215m), 봉천산(291m), 시루메산(250m), 고려산(436m), 혈구산(460m), 퇴미산(339m)을 거쳐 덕정산(320m)에서
동남쪽으로 분기한 정족산(220m), 길상산(336m)을 지나 강화도 최남단에 위치한 길상면 장흥리 택리나루터에서 강화만에 그 맥을 다하는 도상거리 34.1km인 산줄기 이다.
덕정산에서 서남쪽으로 분기한 진강산(441m), 마니산(469m)을 거쳐 화도면 분오리 분오리돈대에서 강화만에 그 맥을 다하는 또다른 산줄기도 있다.
강화지맥 구간 계획
1구간: 도상거리 16.1 km (6시간 30분)
강화대교앞 인삼센터-당산(74.2m)-48번도로청소년수련원-견자산(60m)-북산(140m)-
진고개(48번도로)-국화저수지옆 2차선도로-고려산(436.3m)-나래현 2차선도로(고비고개)-
혈구산(466m)-퇴모산(338.9m)-농업기술센터앞 2차선도로
2구간: 도상거리 약 16 km (6시간 30분)
농업기술센터앞 2차선도로-250m-덕정산(320m)-236.4m- 2차선 1번군도(예비군훈련장)-
71.2m-길정저수지끝-80m봉-강남중앞 2차선도로-영상미디어중뒤-2차선도로-정족산(220m)-
2차선도로-159m-길상산(336m)-선두리 택리마을-2차선도로-택리나루터
강화지맥 개념도
지맥 46번째 강화지맥
강화지맥 1구간 강화대교(강화고려인삼센터) ~ 농업기술센터 2차선도로
산행개요
수원에 누나댁에 왔다가 강화지맥을 하기로 한다. 수원에서 강화도 강화대교옆 강화고려인삼센터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인삼센터 뒷산인 당산을 오름길이 경사가 급하고 등로가 없는 오름길이고 당산을 내려와 도로를 따르고 아파트가 있는 봉을 잘못알아 농로도 따르고 이후 도로따라 진행하다 견자산을 지나 북산능 오르고 고려산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여 정상을 갈수 없는 고려산을 군철조망을 따라 오르고 다시 돌아와 급사면을 내려가 다시 혈구산을 힘겹게 오른다. 혈구산에서 휴식을 취하고 조망도 한다
뒤로는 고려산과 그 우측으로 지나온 마루금이 한눈에 조망이 되고 앞으로는 퇴모산과 1구간 종착지인
강화농업기술센터가 보이고 다음 구간의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온다. 퇴모산을 지나 무척심한 급경사를 내려가 강화농업기술센터에서 1구간을 마친다.
일시 : 2025년 04월 01일
날씨 : 흐림, 미세먼지 보통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 내가면, 하점면, 송해면, 불은면, 선원면, 양도면일대
행정 : 수원 권선구(06:00) ~ 강화대교 ~ 강화고려인삼센터(07:50 ~ 08:04) ~ 당산돈대 (115m, 08:22) ~
장흥리마을(08:44) ~ 강화여중(09:23) ~ 견자산(60m, 09:36) ~ 강화산성 동문(09:45) ~ 북장대(10:10) ~
북문고개(10:15) ~ 126m삼각점봉(10:22) ~ 진고개(10:47)~ 매봉산(215m, 11:29) ~ 청련사 갈림길 사거리
~ 고려산(486.3m, 12:30) ~ 고비고개(12:59) ~ 출렁다리(13:12) ~ 혈구산 삼거리(14:03) ~
혈구산(460m, 14:05 ~ 14:24) ~ 햘구산 삼거리 ~ 퇴모산(338.9m, 15:01) ~ 강화군 농업기술센터(15:29) ~
2차선 도로(15:31) ~ 고려인삼센터 ~ 수원
산행거리 : gps 18.94km(오룩스맵기준), 도상 16.1km
산행시간 : 7시간 30분(휴식 , 간식시간 포함)
동행 : 나홀로
지도
트랙
사진및 일지
수원을 출발하여 강화도 오는 도중에 도로에 정체가 엄청 심하다, 언 1시간 40여분정도 소요되었다.
강화대교 우측에 강화고려인삼센터가 있어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산행준비를 한다.
알고보니 인산센터 뒷산이 당산이다
인삼센터 뒤편으로 가 바닷가쪽으로 진행한다
보이는 좌측 산 모퉁이가 들머리이다.
바다건너 한남정맥 날머리산인 문수산이 보인다.
강화지맥 들머리
등로가 아예없고 경사가 장난이 아니다.
진달래가 피어 오르기 시작하고
이곳에도 쉼터가 있다
약 115m봉에 도착한다 이곳이 당산인줄 알았는데 이곳을 당산이라 불러야하지 않을까도 싶은게 당산 돈대란다.
115m봉을 내려오다 보니 당산을 찾을수가 없다, 봉이 아니고 그냥 능선상이고 몇개의 시그널만 있다.
65m봉에서 우측으로 내려간다
이전에 삼거리에서 그냥 우측으로 내려가는 편이 좋을듯하다.
이건 삼각점이 아닌데.... 65봉에 있는 것
먹절마을로 내려서고
좌측으로 당고개가 보이고
닭도 키우는 집도보니 요즈음 새삼스럽다
사거리에서 좌측으로 조금 진행하다 다시 올라가 진행한다
청소년 교육 연수원인데 지맥은 우측산이다
도로를 건너는데 추후 안일이지만 그냥 48번 국도따라 가는 게 좋을듯하다.
나는 지도를 잘못봐서 도로 좌측 봉(아파트단지)좌측으로 빙 돌아 알바아닌 알바를 하고 만다.
한국 농어촌공사도 지나고
아파트 단지가 있는 봉때문에
48번 국도를 만나 지맥에 합류한다 약 1km거까이 돈듯하다 .
48번 국도를 건너 좌측으로
마을길을 따라가고
도로따라 진행하니 견자산이 보이고
강화여자중학교를 지나
삼거리에서 도로건너 공원으로 오른다.
견자산 오르는 중
견자산에 오른다
견자산
견자산은 1907년 군대해산시 강화진위분견대 대원들이 의병을 일으킨 곳이다. 1907년 8월 9일 일제에 의해 강화 진위분견대가 해산되자, 대원들은 의병을 일으키고 친일군수 정경수를 처단하였다. 강화진위대원들의 봉기에 주민들도 합세하여 의병은 약 800여 명에 이르렀다. 진위대원과 주민들은 무기고에서 총기와 탄약을 탈취하여 부대를 조직하고 일본 순사주재소를 습격하였다. 진위대 해산을 위해 용산에 주둔하던 일본군이 출동하였다. 진위대원을 중심으로 한 봉기군 50여 명은 갑곶 인근 선착장에 매복하여 일본군 6명을 사살하고 5명을 부상시켰다. 그러나 봉기군은 일본군의 화력에 밀려 읍내로 들어갔고, 이후 황해도 지역으로 건너 갔다.
정상 좌측 아래에 있다.
현충탑도 보고
밭으로 내려섰는데 견자산에서 현충탑우측능선으로 내려서는 등로가 맞는듯하다.
강화산성 동문
마을길을 따라 이 느티나무 보호수로 왔는데 동문에서 직접 이곳으로 오는 길이 있다
가야할 강화도 북산
보호수에서 작은 밭을 지나 이도로에 합류하여 도로를 따른다.
밭만나기전에 좌측 계단으로
이건 또 뭐지?
산성길을 따른다
좌측 바위정원 방향으로
강화산성에 올라 산성을 따르고
강화산성 북장대터, 강화 북산이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있는 고려후기 몽골 침입 당시에 축조된 성곽. 산성. 사적이다.
강화산성은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70년)에 조성된 산성으로, 강화읍과 내가면, 하점면 일대에 걸쳐 있다.
1232년(고종 19) 6월 몽골군 침입에 대항하여 강화로 천도하면서 궁궐을 짓고 도성(都城)을 축조하였다. 다만 이 때 왕궁과 도성 시설을 모두 갖추지는 않고, 1234년 1월부터 송도(松都)의 것과 비슷하게 도성과 궁궐, 각 관청을 건립하였다. 강화산성의 경우 1234년(고종 21)부터 본격적으로 축조하였다. 약 1.2㎞ 규모로 토성(土城)을 축조하였는데, 1259년 고려가 몽골과 강화할 때 몽골에 의해 헐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석성(石城)으로 다시 쌓았고, 수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강화로 천도한 고려 조정은 강화도를 방어 요새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강도지(江都誌)』에 의하면 강화의 성은 내성, 중성, 외성의 3중 방어 체계로 이루어졌다. 내성은 둘레 약 1.2㎞의 길이로 쌓은 토성으로 1234년(고종 21) 1월부터 축조되었다. 중성은 둘레 약 9㎞의 길이로 쌓은 토성으로 1250년(고종 37) 내성을 지키기 위하여 축조되었다. 외성은 강화도 섬을 두른 토성으로 1233년(고종 20)부터 쌓기 시작하여 1237년에 일차 완성되었다. 이 세 개의 성은 1259년 고려가 몽골과 강화할 때 모두 헐렸다.
조선 초에 고려 때의 내성을 축소하여 석성(石城)을 축성하였으니 지금의 강화산성이다. 그러나 강화산성은 1637년(인조 15)에 병자호란이 일어난 뒤 청나라 군사에 의해 다시 파괴되어, 1677년(숙종 3)에 강화유수 허질(許秩)이 고려 때의 내성 규모로 크게 고쳐 쌓았다. 1709년(숙종 35)에 강화유수 박권(朴權)이 중수한 뒤에도 조선 말기까지 계속 보수하였다. 이 때 성벽은 돌로 견고하게 쌓았고 성벽 위에 낮게 쌓은 여장(女墻)도 두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무너진 상태이다. 성 안에는 남장대(南將臺)·북장대(北將臺)·서장대(西將臺) 등의 장대와 2개의 수문이 있었다.
1970년대 시행된 강화전적지 정화사업을 통하여 1975년에는 남문 안파루(晏波樓), 1977년에 서문 첨화루(瞻華樓)와 북문 진송루(鎭松樓) 등을 복원하였고, 2003년에 동문 망한루(望漢樓)를 복원하였다.
북문으로 내려선다.
강화산성 북문고개에 있는 북문
126m삼각점봉
126m봉 삼각점 교동 409
진행하다보니 좌측으로 임도가 있다
철망을 만나 우측으로 돌아가는데
안에는 채석장인듯 하다, 전에 군부대인듯한데
철조망 안의 모습
전에 부대였는데 지금은 폐쇄된듯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진행
이런 표석이 많이 있는데 군표석인지,,,,,
삼거리에서 직진한다
저 멀리 고려산이 보이고
향교골안부를 지나고
시그널이 많이 달려 있는 무명봉을 지난다
이런 묘지를 지나고
진고개에 내려선다
중앙분리대끝으로 무단횡단을 하고
고개마루에서 우측 임도로
다시 도로를 건너고, 좌측에 국화저수지가 있다.
봉우리 사이로 고려산이 보인다.
좌측으로 국화저수지가 보인다.
매봉산 오름길이 좀 힘겹다.
이건 무슨 물건인고?
매봉산에 도착한다. 돌탑이 있고 매봉산 코팅지가 있다.
매봉산에서 간식도 먹고 잠시 쉬어간다
여기에도 이런 표석이 있다
안부 사거리를 지나고
또하나의 무명봉을 넘는다.
청년사, 백련사갈림길 사거리를 지난다. 휴일에는 가게가 열리는 모양이다.
봄이 어느새 성큼 다가와 버렸네,,,,,,
청련사갈림길 쉼터 이정목
쉼터 여름엔 너무 시원할듯
고려산 정상인 군부대가 보이고
고려산은
높이는 436m로 강화읍내에서 5㎞쯤 떨어져 있는 산이다.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태어났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옛 명칭은 오련산(五蓮山)이다. 416년(고구려 장수왕 4)에 중국 동진의 천축조사가 이 산에 올라 다섯 색상의 연꽃이 피어 있는 오련지를 발견하였는데, 이 연꽃들을 하늘에 날려 이들이 떨어진 곳에 적련사(적석사)와 백련사·청련사·황련사·흑련사를 각각 세웠다고 한다. 이 산에서 인근 낙조봉(343m)으로 가는 능선에는 억새밭이 넓게 펼쳐져 있다.
산행은 적석사 입구에서 시작한다. 적석사로 오를 때에는 적석사 축대 밑에서 왼쪽으로 올라야 낙조대를 거쳐 낙조봉으로 오를 수 있다. 적석사에서 15분 정도 오르면 낙조봉이다. 서쪽 능선에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된 3기의 고인돌이 있으며, 낙조대에는 작은 해수관음보살상이 있다. 이곳에 바라보는 석양은 강화팔경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진행하는데,,,,, 우측으로 가면 고려산 임시 정상이 나오는길
좌측으로 진행한다
좌측으로 진행하다 좌측으로 꺼여내려가는 부근에서 우측 목책을 넘어 고려산정상으로 진행한다 군부대철조망 조망처에서 바라본 지나온 마루금이다
군부대 철조망따라 가보지만 임시 정상과는 거리가 멀고 길도 없고하여 다시 돌아온다, 군부대라 사진은 촬영하지 않고
다시 철조망따라 목책으로 돌아와 진행하는데 우측에서 올라오시는 분이 계신다 , 임시 정상에서 오신단다 같이 내려가며 이런 저런얘기도 하며
고비고개에 내려선다, 고려산에서 내려오는 등로가 안부까지 무척 급하게 내려온다.
무덤쪽으로 내려서 문을 열고 나온다
임도따라 내려가고
출렁다리가 있는 고비고개를 넘고
고비고개
고비고개는 청련사에서 외포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무명봉에 올라 잠시 쉬며 고려산을 돌아봅니다.
좌측으로 혈구산이 보입니다.
무명봉으로 오르는 중에 좌측으로 지름길이 너옵니다
무명봉을 힘들게 올라 내려가니 지름길 삼거리와 마주치고
다시 또하나의 무명봉을 오르는데 이곳에도 좌측으로 지름길이 있다
바위가 있는 무명봉
우측의 경관 퇴미산으로 가는 등로인듯
혈구간이 보이고
이런 바위를 지납니다 비박하면 적격일듯
지름길 삼거리와 만나고
혈구산 삼거리를 만나 혈구산을 다녀온다.
강화지맥 퇴미산가는 마루금
농업기술센터와 그넘어로 더음차 가야할 강화지맥 2구간의 마루금이 한눈에
혈구산에 도착한다
혈구산 [ 穴口山 ]
높이는 466m이다. 예전에는 혈굴산, 설구산, 열구산이라고도 하였다. 강화도 중앙부에 위치한 산으로, 높이에 비해 산세가 힘차며 험준하다. 고비고개를 사이로 하여 고려산(436m)과 남북으로 이어져 있다. 상고시대에는 강화도의 주산(主山)이며 상징이었다. 산이름은 강화군의 옛이름인 혈구군에서 나왔거나, 문헌상에 혈구진으로 기록되어 있는 오래된 성터에서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산이 섬 중앙에 위치한 탓에 정상에 서면 섬 전망이 매우 좋은데, 동쪽으로 강화 시내와 강화대교, 문수산성, 남쪽으로 마니산 주능선, 서쪽으로 내가저수지와 외포리·석모도·교동도 등 주변 섬들, 북쪽으로는 강화도 북쪽에 위치한 여러 산이 보인다. 골짜기가 많아 예전에는 절이 매우 많았다고 하며, 수령 30년 이상의 상수리나무 군락이 흔하다.
고비고개부터 정상까지의 능선에는 4개 봉우리가 있는데 네번째 봉우리가 정상이다. 각 봉우리의 경사가 심하지만 길이가 왕복 4㎞ 정도이므로 산행 시간이 1시간 50분밖에 걸리지 않아 가족단위 산행에 알맞다. 혈구산에서 퇴모산·외포리까지 종주하는, 강화도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산행코스도 있다.
찾아가려면 강화대교를 지나 적석사·낙조대 방향으로 돌아서 4㎞ 정도 가다가 고비고개 마루 왼쪽으로 가면 된다.
혈구산 삼각점 삼각점 번호가 없다
혈구산에서 바라본 고려산
강화대교에서 고려산까지의 마루금이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석 뒷면엔 한반도의 중심이란 글씨가 있다
삼거리로 돌아와 지맥을 이어가고
무명봉을 지나고
혈구산을 돌아보고
이곳에서 잠시 쉬어간다. 오늘 무척 힘이 든다
퇴미산에 도착
퇴미산(퇴모산,338.9m)
퇴모산[ 退帽山 ]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불은면, 양도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높이는 338m이다. 혈구산(穴口山:466m) 정상에서 서쪽으로 세번째 자리한 봉우리이다. 고려산(436m) 정상에서 혈구산을 거쳐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위치하며, 이 능선은 계속 덕정산(325m)·진강산(443m)을 거쳐 마니산(469m)까지 이른다.
혈구산 정상과 퇴모산 정상 사이에 있는 봉우리가 퇴모산 정상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혈구산과 퇴모산은 정상에서 서로 보이지 않으며, 두 산을 잇는 능선길에는 통일신라시대의 혈구산성터가 있다.
산행은 흔히 혈구산에서 퇴모산을 거쳐 외포리까지 강화도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코스가 주를 이룬다. 북쪽 자락에는 삼별초청소년야영장이 있고, 산 윗부분에 반지하식으로 축조된 고려시대의 돌방무덤인 강화 인산리 석실분(石室墳:인천기념물 27)이 있다.
퇴모산 삼각점 강화 305
퇴모산에서 강화농업기술센터로 무척 심하고 험한 등로를 한동안 내려가고 완만한 길을 내려가면 강화농업기순센터에 도착한다
강화농업센터 기술센터
강화농업센터 기술 센터
도로에 내려서 지나온 혈구산과 퇴산을 바라보며 강화지맥 1구간을 마친다
택시를 이용해 강화대교옆 인산센터에 도착하여 수원으로 귀가한다
'지맥종주 > 강화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지맥 2구간을 누나와 함께 걷다, 농업기술센터 ~ 택리마을 (1) | 2025.04.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