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맥종주/화왕지맥

화왕지맥 2구간

SANMA 2020. 12. 20. 22:48

일시   :   2020년 12월  19일 

날씨   :   맑음 속 추운 날씨 

소재지  :  창녕군  유어면, 남지읍 일대 

행정  :  창원 남산동(06:00) ~ 남지시외버스공용주차장(06:40) ~(택시이용) 창령고개(07:29) ~ 큰갓실산(121.7m)(07:52)

   ~ 가람고개(1008번 지방도)(09:20) ~ 성사고개(1021번 지방도)(11:05) ~ 우실등((220.8m)(11:38) ~ 164.2m삼각점봉

   (11:52) ~ 도초산(166m)(12:53)  ~ 남지 공동묘지(13:07) ~ 마산리 ~ 남지대교(14:16) ~ 낙동강(14:21) 

산행거리  :  18.29km (GPS거리)     누적거리 :  도상21.6km + 15.2km  =  36.8km 

 현재까지 걸어온 지맥거리  :  676.1km + 36.8km = 712.9km 

산행시간 :  6시간 50분(중식시간 포함) 

같이한 산우님들   :   달리는 거북이 한성현님,  산마 박항석 

오늘은 화왕지맥 마무리하는 산행이다, 창령고개에서 남지 낙동강까지 도상15.2km의 거리이고 이로써 또 하나의 지맥을 완주한다,  거리에는 약간의 의문점이 있다, 헨거리는 18.3km나오는데 도상거리가 15.5km라 차이가 너무많이 난다, 도초산에서 낙동강까지 직선거리로 표시한것은 아닌지  약간 의아스럽다,  하여튼 낙동강까지 완주하고 창원으로 돌아와 닭갈비로 완주기념뒷풀이로 완주를 축하한다 ,   남지시외버스터미널~ 창령고개 택시비  22,000원

트렉 

사진및 일지

창원 남산동에서 거북이님과 합류하여 나의 차량으로 남지 시외버스터미널 공용주차장에 도착하여 산행준비를 하고 택시를 이용하여 창령고개에 도착한다   우측은 지난구간의 날머리 

좌측농로가 들머리    07:29 

농로따라가다 좌측산으로 올라선다, 무명봉까지는 등로가 없고 무작정 오른다 

무명봉을 넘어 감나무단지에 들어선다 

감나무단지에서 지나온 등로 저멀리 화왕산과 가운데 지난구간의 초소봉이 보이고 좌측 감나무단지농로가  이곳까지 얀결되는데 농로따라 오는 사람들도 있겠다 싶다 

하나의 무명봉에 오르니 시그널이 보이는데 이곳이 큰갓실산으로 알았었다 

이봉에서 우측으로 꺽여 진행하면 

121.7m봉인 큰갓실산이 나온다,  약간 봉우리같지않은 봉이다    07:52

완만한 등로를 이어가다보면 

임도를 만나 임도따라 진행한다 

임도삼거리에서 우측 임도로 

임도삼거리 이정목,   다시 임도삼거리를 만나 중앙의 산으로 들어서고 

이곳은 불법개간하는듯 

솔잎갈비가 있는 완만하고 아름다운 길을 걸어간다 

감나무밭을 지나며 지나온 마루금,  화왕산과 지난구간의 산불 초소봉   저곳에서 내려오는데 잠시 해맷던 생각이 난다 

열왕지맥의 영취산, 열왕산 방향인듯 

1구간의 분기점, 구룡산,관룡산, 화왕산구간 

167.6m봉 

이봉에서 조금더 진행하다보면 두릅나무가 엄청 많이 있고 두곡마을 임도와 만나는 곳에는 축산쓰레기가 많이 쌓여 있어 눈쌀을 찌뿌리게 한다, 임도를 지나서도 두릅나무군락지는 계속된다 

가람고개로 내려서고 

가람고개는 장마면 고곡리와 동정리를 이어주는 고개로 1008번2차선지방도가 지나는 고개이다 

가람고개에서 우측봉으로 오르는데 무슨 비각이 하나있고 봉에는 무인산불감시탑이 있다, 바로 앞에는 산을 절개하여 공장건물이 들어와 있는데 좌측능선은 사람들 왕래가 없어 가시덩쿨과 잔가지,잡초로 우거져 통과하지 못하고 좌측농로를 이요하여 오른다

그물망우측으로 올라 묘지로 

공장건물이 있고 그 뒤로 산불 감시탑 ,   산을 저리 파내어 공장을 지어 놓았다, 

126,1m봉 

준.희님의 시그널 

완만한 등로를 다라 137,6m봉에 도착한다 

132m봉도 지나고 

 

132m봉을 지나 삼거리봉에서 점심식사를 한다,  라면과 만두,  그리고 맛있는 영탁막걸리 

식사후 갈림봉에서 우측으로 진행해야한다,   이삼거리봉은 장마면과 남지읍의 경계봉으로 지금까지는 이어면, 장마면을 지나왔으나 앞으로는 남지읍에 들어서게 된다 

 

136.3m봉 

성사고개에 도착하고

성사고개는 아지마을과 성사마을을 이어주는 고개로 2차선 1021지방도가 지나고 있다 

우측도로따라 내려가다 절개지끝에서 좌측 감나무밭으로 

감나무밭을 오르면서 나무에 열린 감을 보니 새들이 감을 모두 파먹어버렸다 

그래도 남은 감이 있어 10여개를 따서 챙긴다,   울 마누라 간식ㅎㅎㅎㅎ

지나온 마루금과 1021번 지방도 , 그리고 성사마을과 상사저수지  

감도 챙기고 

준,희님의 화왕지맥격려 산패 

211.9m봉   마루금은 우측으로 꺽이고 

거북이님이 단풍이 멋지대  ㅋㅋㅋ 웃겨... 

오늘의 최고봉 220.8m우실등에 도착한다    11:38 

여기서는 좌측으로 내려간다 

쉼터를 만드는 중인가? 

우측으로 낙동강이 보인다 

164.2m삼각점봉을 지나는데 인지하지 못하고 그냥 지나쳐버린다 

계단을 올라 

167,5m봉  삼거리봉인데 좌측으로 3시방향으로 꺽여 내려간다 

삼거리를 만나 진행하고 

삼거리봉에서 좌측 도초산으로    12:01 

 

임도를 만나고   이곳은 마지 개비리길중의 일부 구간이다. 

낙동강 남지 개비리길은 창녕군 남지읍 용산리에서 신전리 영아지마을까지 총 6.4km의 거리로 낙동강가의 절경을 따라 한 사람이 겨우 지나다닐 수 있는 좁은 길로 절벽아래 낙동강의 풍광을 담을수 있다.개비리길 주변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장군과 의병들이 육지에서 첫 승리를 거둔 기음강 전투의 역사적 현장이며, 한국전쟁의 낙동강 최후 방어선으로 남지철교와 함께 우리 민족의 상흔이 남아 있는 곳이기도 하다.

개비리길의 유래개(누렁이)가 비리(절벽)로 다니게 되어 ‘개비리’라는 길 이름과 ‘개’는 강가를 말하며 ‘비리’는 벼랑이란 뜻의 벼루에서 나온 말로서 강가 절벽 위에 난 길이라는 뜻으로 벼랑을 따라 조성된 길을 의미한다.

전설의 마분송이라네 

마분송길 

도초산으로 

이봉에서 청나루주차장은 옛 화왕지맥등로이지만 도초산이 마루금이 길다는 이유로 남지대교까지로 화왕지맥 마루금이 바뀌었다 

임도로 내려서 

전마데크에서 조망을 즐기고 

우봉지맥의 마지막마루금이 낙동강 건너편에 

166m봉인 도초산에 도착한다 

도초산경상남도 창녕군남지읍 학계리와 신전리의 경계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166m). 인근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도치산이라고도 한다. 도치는 '도끼'의 창녕지역 방언이다. 구전에 옛날 천지가 개벽하여 온 세상이 물에 잠겼을 때 영산의 함박산은 함배기(함지박)만큼, 도초산은 도치만큼 남아 도치산이라 하였던 데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지리지에 지명을 수록하고 있는데, "현의 서쪽 22리에 있으며, 창녕 화왕산에서 이어진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지도에서 읍치 서쪽으로 도초산을 기재하고 있으며, 여통산봉대와 소산봉대가 이를 끼고 서로 마주하고 있다.

화왕산(좌측)과 그옆으로 비슬산이 아련하고 우측으로 관룡산과 구룡산, 그뒤로  열왕산, 우측으로 범봉능선과 열왕지맥옆의  영취산이  선명하게 

열왕지맥, 우봉지맥,화왕지맥의 낙동강 합수점 

지나온 마루금 

열왕지맥의 비룡산과 학포나루터  반대편 강건너 천마산 

열왕지맥의 덕암산과 처녀봉인듯 

화개지맥의 자양산도 보이고  그뒤로 낙남정맥도 

남지읍을 배경으로 

남지읍과 가야할 마루금 

도초산에서 좌측으로 급경사를 내려간다 

도초산에서 급경사를 내려와 학계지안부를 지나고 무명봉(90m봉)에 올라 우측으로 내려가면 남지 공동묘지가 나오고 

신전리와 덕동리를 넘는 임도고개를 만나고

잠시의 된비알을 오르면 

넓은 분지의 124.7m봉에 도착한다  화왕지맥의 마지막봉이다 

다시 공동 묘지군을 지나고 

용소골입구를지나 

마산정에 도착한다 

여기부터는 계속 도로따라 진행한다 

저기 보이는 교회로 

남지 로타리가 보이고 

남지 로타리도착하여 

남지대교로 진행하다 수변공원으로 내려선다 

낙동강 수변공원 으로 

남지대교 아래 낙동강에 도착하여 화왕지맥을 마무리한다 

남지터미널 공용주차장에 도착하여 차량을 회수하여 창원으로 돌아와 성주동 경상대병원 위 내리마을 상가에서 닭갈비로 뒷풀이를 하며 화왕지맥 완주를 축하한다 

'지맥종주 > 화왕지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왕지맥 1구간  (0) 2020.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