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점, 표고점 , 삼각점.
수준기점
수준기점은 고도란 기준면으로부터 어느 지점까지의 수직 거리를 말하는데 이것을 표고(標高), 해발(海拔)이라 한다. 기준면(M.S.L ; mean sea level)은 고도를 결정하는 데 표준을 삼기 위한 것이며 해수면의 평균 수위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고도는 육지에서는 인천만의 평균 해면을, 제주도에서는 제주만의 평균 해면을 기준한 것이다. 이 기준면 설정은 1914년부터 1916년까지 인천항의 조위(潮位) 측정을 해서 평균 해수면을 산정하였다. 수준 기점(인천시 중구 항동 1가 2번지)을 결정하여 잠정적으로 국토의 표고 기준치로 이용하고 있는데 그 후 이 기점을 기준으로 정밀 수준 측량을 하여 표고 원점 26.6871m 를 결정하였다. 이것이 현재 우리나라의 수준원점으로 인천시 남구 용현동 253번지 인하대학교 교정내에 설치되어 있다.
수준점
수준점은 수준원점을 기준으로 높낮이를 결정하는 기준점으로 우리 나라의 삼각점과 표고점을 비롯해서 모든 높이는 이 수준점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고도 측정을 위하여 전국에 5,500개를 설치함
표고점(×)
수준점에서 측정한 높이가 정확하게 나타나 있는 지점으로 어느 지역의 높이를 알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곳에 나타낸다.
표고점은 표시석은 설치하지 않고 지형도상에만 나타낸다. 또 표고점은 측량을 하지 않고 도화
(도화기에 의해서 작성된 그림)에서 고도를 측정한다.
도화기란 한 쌍의 실체사진(實體寫眞)에서 피사체의 평면형과 높이를 측정하여 지도를 그리는 기계를 말하며 실체도화기라고도 하는데 2개의 공중촬영점에서 지상에 있는 각 점의 위치를 구하는 공간적인 교회법(交會法)을 정밀하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사진의 실체측정에 의해 소정의 축척으로 도시(圖示)하는 광학기계이며, 보통 광학계(光學系) ·관측계(觀測系) ·묘화계(描畵系)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삼각점
지도를 그리는 기준으로 삼각 측량을 해서 점의 위치를 경도와 위도 상으로 정확하게 결정해 놓은 지점을 말한다. 다른 지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도 기준점의 역할을 한다. 고도는 수준점을 기준으로 간접수준측량을 통해서 산출한다.
1, 삼각점은 전국에 약 2.5km-5km간격으로 대부분 산정상에 화강암(일부 동판)으로 설치.
2. 삼각점에 붙여있는 것중 지명(설악11, 설악26, 연곡319, 단양425 등)은 1:50,000지형도의 도엽명임
숫자(11, 26, 319, 425 등)는 삼각점의 등급으로 11부터 19까지는 1등 삼각점, 21부터 29까지는 2등 삼각점, 301부터 399는 3등삼각점, 401부터 499까지는 4등 삼각점. 1등 삼각점은 대삼각본점이라는 명칭으로 우리나라(남한)에 14개,2등 삼각점은 대삼각보점으로 1,102개, 3등 삼각점은 소삼각1등점으로 3,045개, 4등 삼각점은 소삼각2등점으로 11,753개 설치되어 있다고 함.
3. 그러나 2004년부터는 3등급으로 구분, 1등급- 상시관측소 운용하는14곳, 2등급 - 세계측지계를 기준으로 하여 2007년에 194곳 지정, 3등급 - 1.2등급 이외의 삼각점
4. "재설 1974"는 망실된 삼각점을 1974년에 재설치하였다는 뜻.
5. 삼각점 대리석 기둥 상단부의 '+' 는 방위를 나타냄.. 위쪽이 북쪽을 나타냄
삼각점 종합 해설
1. 단양 : 5만 지형도 도엽명
2. 425 : 삼각점 4등급 중 25번째 삼각점
참고로 1등급은 전국에 14개(25만 지형도 수와 거의 일치)만 설치하였기 때문에 거의 11이라고 보면 됨(예, 설악11)
3. '+' (방위표시) : 위쪽이 북쪽 방향임
4. 2003 재설 : 2003년에 삼각점을 재설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