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산 작은 환종주
개요
가지산은 원래 석남산(石南山)이었으나, 1674년에 석남사(石南寺)가 중건되면서 가지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 밖에 천화산(穿火山)·실혜산(實惠山)·석민산(石眠山) 등으로도 불렸다.
신라 흥덕왕시대 전라남도 보림사에서 가지산서라는 중이 와서 석남사를 지었다하여 부른 것이다. 가지는 까치의 옛말 ‘가치’를 나타내는 이름으로 본다.
높이는 1,240m이고, 태백산맥의 남쪽 여맥에 있는 산으로서 이 산에서 크게 세 방향으로 능선이 뻗어 있다.
그 가운데 문복산(文福山, 1,013m)을 연결하는 북동 능선과 운문산(雲門山, 1,188m)을 잇는 서쪽 능선은 경상남북도의 도계를 이루고, 능동산(陵洞山, 982m)·천황산(天皇山, 1,189m)으로 이어지는 남서 능선은 밀양시와 울산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 사면을 제외하면 대부분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특히, 서쪽의 운문산과는 약 10㎞ 거리로 나란히 솟아 있어 멀리서 보면 하나의 산에 있는 쌍봉같이 보인다. 지질은 쥐라기에 관입한 화강암으로 되어 있어 곳곳에 기암괴석의 암봉이 많다.
이 일대는 경상남도 북동부의 산악 지대로 1,000m 내외의 험준한 산들이 솟아 있는데, 그 가운데 최고봉이 가지산이다. 산의 북동부 사면은 완만하여 목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쪽은 태화강의 상류로 비교적 경사가 급하지만 언양 중심의 곡저·분지 평야를 이루게 된다. 북서쪽으로는 무적천(舞笛川)이 흐르고 남쪽은 밀양강의 지류인 산내천(山內川)의 상류가 된다. 해발 700m 이상 지역은 신갈나무군락이 우점하며, 정상에는 초지가 발달되어 있다.
사자평은 영남 알프스라고 불리는 해발 1000m가 넘는 가지산·신불산·재약산 등 8개 산악무리의 가운데이고, 이 곳 주변에 국내 최대 규모의 고층습지인 산들늪이 있다. 재약산(1108m)에 있는 산들늪은 과거 농경지로 이용되던 논과 밭이 습지로 바뀐 곳이다. 산들늪에는 멸종위기종인 노랑무늬붓꽃의 남한계 분포지이자 삵, 하늘다람쥐, 매 등이 분포하고 있다.
석남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824년(헌덕왕 16) 우리 나라에 최초로 선(禪)을 도입한 도의(道義)가 호국기도도량으로 창건한 선찰(禪刹)이다.
창건 당시 화관보탑(華觀寶塔)의 빼어남과 각로자탑(覺路慈塔)의 아름다움이 영남 제일이라고 하여 석남사(碩南寺)라 하였다고 하며, 일설에는 가지산의 별명이 석안산(碩眼山)이기 때문에 석안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1803년(순조 3)에는 침허(枕虛)와 수일(守一)이 중수하였고, 1912년에는 우운(友雲)이 중수하였다. 그러나 6·25전쟁 이후에 크게 폐허가 되었던 것을 1957년 비구니 인홍(仁弘)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크게 증축하였다. 이 때부터 비구니 수도처로서 각광을 받은 이 절에는 항상 100명이 넘는 비구니들이 엄격한 계율을 준수하면서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일시 : 2021년 01월 10일
날씨 : 맑음속 무척 추운 날씨
소재지 : 울산 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경남 밀양시 산내면, 청도군 운문면일대.
행정 : 창원 남산동(07:00) ~ 양산시 ~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석남주차장(08:10 ~ 08:30) ~ 운문령임도(09:35) ~
상운산(10:32) ~ 쌀바위(11:00 ~ 11:58 중식) ~ 가지산(12:40) ~ 가지산중봉(13:09) ~ 석남사주차장 갈림길(13:47) ~
석남사 주차장(14:36) ~ 밀양 ~ 창원
산행거리 : 10.9km 산행소요시간 : 6시간 16분
동행 : 달리는 거북이님, 영월님, 산마
지도트랙
사진,일지
창원을 출발하여 양산을 거쳐 울산 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석남사주차장에 도착하여 준비를 하고 석남사입구로 간다
석남사입구에서 입장료를 받기때문에 우측 계곡을 건너 우측 능선등로를 따라 진행한다
바위 전망대에서 조망을 즐기고
앞에 석남사가 보이고 뒤에 가지산, 그리고 하산할 등로를 가늠해본다 중앙좌측 봉에서 능선을 따라 내려올 예정이다
산불초소가있는 758.2m봉
헬기장에 도착한다. 옛날에 박진조형님, 김완기동생과 함께 이곳에서 여여을 하던 생각이 나 감회가 새롭다
가지산 정상이 눈이 좀 있네 , 저가운데 계곡도 한번 골산행하자는데,,,, 엄청 깊어보인다
운문령에서 올라오는 임도를 만난다, 이 임도는 쌀바위까지 이어져 있다
그래도 눈이 녹지 않고 있다
귀바위도 구경하고
가지산에서 석남터널, 능동산, 얼음골케이블카승강장, 천황산까지 빙 돌아가는 능선이 무척 장쾌하고 아름답다
1057,4m봉. 여기부터는 1000m산군이다
귀바위에 올라본다
여기서 아이젠을 차고 진행한다
상운산(1116.6m) 도착.
전에는 세워놓은 정상석이 있었는데 이렇게 바꿔 놓았네
문복산 방향 중앙바로 좌측이 문복산
가야할 가지산 , 쌀바위도 등로 중간에 보인다
영남 알프스 산군들 가지산에서 천황산 능선과 낙동정맥의 배내봉, 신불산등등
고헌산도 뒤돌아보고
임도를 만나고
1057.4m봉부터는 많은 눈이 아직 녹지 않고 있다 , 등로 우측으로는 쌀바위가는 임도가 있다
쌀바위
임도를 다시 만나가면 쌀바위
쌀바위에 도착한다 , 이곳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고 대피소에는 라면,전,막걸리를 팔고 있다, 코로나때문에 난리인데 많은 사람들이 들락거리는것이 보기 안좋다
쌀바위 아래로 간다
쌀바위아래에는 나무데크가 있어 이곳에서 점심을 해결한다, 라면과 어묵
쌀바위 상단에는 추모비도 있고
조망처에서 내려다본 석남사와 좌측으로 올라온 능선과 우측으로는 내려가야한 능선이 보이고
가지산 정상도착
울산광역시에서 세워놓은 대형정상석에는 50~60여명이 사진찍기를 기다리고 있다, 1년안에 영남알프스9봉을 인증을 하면 은메달을 준다해서 인증줄이 저리 길다,
뒤로 운문산이 보이고
우리는 정겨운 옛정상석에서 인증을 한다
정상을 떠나 중봉으로
조망봉
지나온 쌀바위. 상운산 등.
뒤돌아본 가지산 정상
중봉에 도착하고
가지산 정상 좌측으로는 운문산가는 능선
나무계단을 따라 내려간다
석남 대피소
석남사주차장삼거리에 도착한다, 지금까지 운문령 임도에서 이곳까지 낙동정맥을 따라오다 낙동정맥과 갈라져 석남사주차장으로 내려간다
하산길이 무척 급하게 내려간다
석남사주차장에 도착하여 오늘의 산행을 마무리 한다.
석남사 주차잔 가게에서 파전과 막걸리로 뒷풀이 하고